택배현장 임계점에 도달, 택배기업과 근로자 모두 '아프다'는 신호 보내

1992년 1월 한진택배가 ‘일관수송업’ 허가를 취득, 같은 해 처음으로 택배서비스를 선보인 후 국내 택배산업은 코로나 팬더믹과 맞물려 파죽지세로 시장을 확대, 일상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물류서비스로 자리해 있다. 지난 30여년 오로지 고객만을 바라보며, 지금까지 단 한 번의 서비스 파행 없이 영원한 ‘을’의 지위에서 묵묵히 물류현장을 지켜온 택배기업과 근로자들을 ‘착한 바보’라고 일컫는 배경은 이 같은 성실함 덕분이다.

반면 국내 기간산업 시장에 핵심 물류서비스를 제공해 온 동종의 수출입 및 산업화물 운송 담당 컨테이너 화물운송업계의 화물연대는 지난 2003년 첫 대단위 물류대란 파업이후 지속적인 자기 목소리를 통해 인상된 ‘안전운임제’를 얻었다.

이에 반해 택배산업은 괄목할만한 가격 인상도, 산업시장을 멈추는 과격한 노동환경 개선 요구도 없이 오로지 대국민 서비스 향상과 운영 합리화에만 전력투구 해 왔다. 여기엔 일선 택배근로자들의 노고와 역할도 컸지만, 정부의 지원책 하나 없이 오로지 택배기업들의 지속적인 경영 최적화 노력과 끊임없는 운영 개선방안 아이디어 개발, 그리고 수 조원에 이르는 상상 그 이상의 대단위 물류시설 거점과 자동화 장비, IT투자 덕분이다. 하지만 점차 기업들의 노력들은 한계점을 맞고 있다.

한편 이렇게 서울에서 대한민국 땅 끝 마을까지 1박2일이면 안방에서 안방까지 안심 배송이 가능한 택배서비스 가격은 고작 2,500원에서 3천원에 머물러 있다. 담배 한 갑 가격이 4,500원, 분식집 라면 한 그릇 가격이 3,000원이며, 1~2 Km의 짧은 거리에 식음료 배달비도 4천원에 이르는 시장 상황에서 택배가격은 산업시장의 유래를 찾을 수 없을 만큼 초 저가격을 유지하고 있다. 지난 30여 년 동안 택배기업과 근로자 모두가 이렇게 묵묵히 견뎌온 택배산업현장이 이제 임계점에 도달, 택배기업들과 근로자 모두 ‘아프다’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.

2020년 코로나19 팬더믹 이후 택배물량은 약 20% 증가를 넘어 그 어느 시기보다 뜨거운 호시절을 맞았지만, 지난 30여 년간 꾹 참으며 견뎌온 곪고 아픈 상처들은 여기저기서 근로자들의 잇단 사망과 자살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.

생활 물류시장에 단 하루라도 없어서는 안 될 택배산업이 지금까지 이어온 영속성을 갖기 위해선 그동안의 관행과 운영패턴을 탈피해 전혀 다른 패러다임 구축에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. 30여 년간 묵묵히 견뎌온 고난과 역경의 길이 충분한 보상으로 이어지기 위한 택배관련 구성원들의 시각도 변화해야 할 시점이다.

산업계의 대표 ‘바보’라 불리면서도 뚜벅이처럼 현장을 지켜온 택배기업들과 근로자, 사용자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대안은 무엇인지 물류신문 창간 23주년을 맞아 택배문화를 통해 조명해 보았다.

<편집자주>

저작권자 ©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